본문 바로가기
과학/과학 뉴스

김빛내리 교수, 세계 최초 코로나 RNA 전사체 분석, Cell에 이래적 빠른 게재

by W라이프 2020. 4. 9.
반응형

 

국내의 대표적 노벨상 수상자 후보로 꼽히는 김빛내리(51)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RNA 전사체를 세계 최초로 분석해 공개하는 성과를 올렸다. 향후 코로나 바이러스의 고정밀 진단시약과 치료제 개발에 결정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RNA 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김빛내리 교수와 장혜식 생명과학부 교수(40ㆍIBS 연구위원 겸임) 연구팀이 질병관리본부와 공동 연구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이날 세계적 국제학술지 셀 온라인판에 우선 게재됐다.  

 

국제학술지 셀에서도 이례적으로 빠른 심사과정을 진행했다. 김교수팀이 셀에 논문 게재 신청을 한지 한달도 채 못된 9일 이례적으로 우선 게재했다.  
 
김빛내리 단장은 “셀이 코로나19가 전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지고 있는 상황에서 서둘러 게재결정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한 풍부한 정보와 세밀한 지도를 통해 바이러스의 증식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코로나 계열의 바이러스에 대한 더 정확한 진단키트와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 비밀 풀었다···RNA 전사체 세계 첫 분석

 
RNA 전사체의 분석이 높게 평가 받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고 판단 된다.
첫째, 진단키드의 작용에 RNA 염기 서열 자체를 분석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분자 진단 방식에 있어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서열을 정확하게 인식 할 수록 오류가 적어진다. 분자 진단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특정 염기서열과 결합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는 더 정확한 진단 키드의 개발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치료제의 개발에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제의 작용에서 RNA의 전사체를 정확히 알면, 어떤 부분을 target 할지 정확히 알 수 있다. 정확한 염기 서열을 통해 그 코드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부정확한 RNA, 혹은 단백질을 target하는 위험성을 막아 줄 수 있다. 이러한 off-target 작용을 줄이면 약에 의한 부작용도 줄일 뿐더러, 환자의 치료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

 

김빛내리 교수님은 RNA 분야의 권위자 이시며 개인적으로 존경하는 분이다. 이러한 국내 연구진의 연구 결과가 세계적으로 인정되고,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빨리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길 간절히 바란다.

 

반응형